프로그래밍 공부/Trouble Shooting3 JWT를 이용한 로그인/회원가입 구현시 발생한 오류 JWT를 이용해서 로그인/회원가입을 구현하고 Postman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500에러가 발생했다. 바로 인테리제이의 로그를 확인해보니 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았다. 에러 메시지를 확인해보면 해당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secret-key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다는 의미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래서 appication.yml에서 설정해준 secret-key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설정해주고, 다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위 이미지와 같이 성공적으로 200 상태코드가 출력되었고, Header에 accessToken과 refreshToken도 정상적으로 응답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래밍 공부/Trouble Shooting 2022. 9. 28. 드라이브 파티션을 나누기 및 Gradle 빌드 오류 C 드라이브(500GB) 하나를 이용해서 노트북을 사용하다가 개발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는 별도의 드라이브에 나눠서 관리하면 좋을 것 같아 생각에 기존 C 드라이브의 100GB를 나눠 D 드라이브를 생성했다. 드라이브 파티션을 나누는 것은 윈도우를 재 설치할 때는 많이 해봤지만 작동 중인 노트북의 파티션을 나누는 것은 처음이라서 구글링을 통해 이 부분을 해결했다. 그리고 오늘 인프런의 강의를 수강하다가 인텔리제이에서 Gradle 빌드가 계속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통해 Gradle의 버전때문에 발생한 문제일지도 모른다는 포스팅을 보고 해당 부분을 수정하였지만 해당 에러를 해결할 수 없었다. 빌드 에러 발생시 인텔리제이의 로그의 스크린샷을 찍지 못했지만 에러의 내용은 1. Spring I.. 프로그래밍 공부/Trouble Shooting 2021. 11. 30. 오라클 11g express port 변경하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강의를 수강하다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에러 메시지를 읽어보면 8080 포트가 이미 사용중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포트를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찾아내서 종료하거나 다른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면 8080 포트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제 작업 관리자창을 열어 해당 포트를 어떤 프로그램이 사용중인지 확인해보자. 위의 그림과 같이 8080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Oracle인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Oracle이 사용중인 포트 번호를 다른 번호로 변경해주기로 하자. 위와 그림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서 포트 번호를 9090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다시 인텔리제이로 돌아와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시키면 강의에서 .. 프로그래밍 공부/Trouble Shooting 2021. 3. 7. 이전 1 다음